안녕하세요, 예비 사장님 또는 이미 가게를 운영 중이신 사장님들!
요즘 인건비도 부담되고, 사람 구하기도 하늘의 별 따기죠?
그렇다고 무턱대고 사람부터 뽑았다가 나중에 노동청 신고라도 들어오면,
마음고생은 물론 돈도 날아가요…
그래서 오늘은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할 때 꼭 알아야 할 정부 정책 기초 상식과
실제로 장사하시는 사장님들이 입 모아 말하는 고용 꿀팁들까지!
한눈에 보기 좋게 정리해드릴게요.
처음 알바를 뽑아보는 사장님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
복잡한 용어는 빼고, 꼭 필요한 것만 쏙쏙 담았으니
잠깐 짬 내서 읽어보세요!
알바 고용 전에 꼭 알아야 할 정부 정책
근로계약서는 필수!
근로계약서는 구두로 하면 안 되고, 꼭 서면으로 작성해야 합니다.
아르바이트라고 해도 정식 근로자이기 때문에 고용일자, 시급, 근무시간, 휴게시간, 주휴수당 지급 여부 등이 명시돼야 해요.
작성 안 하면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어요.
ps.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 근로계약서 양식 무료 제공 중이에요!
주휴수당, 꼭 줘야 하나요?
네.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반드시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.
예: 시급 9,860원, 주 5일 × 4시간 근무 시 → 주휴수당 하루치 = 9,860원 × 4시간
- 주휴수당은 ‘출근 잘하면 주는 유급휴일’이라고 쉽게 기억하시면 됩니다.
4대 보험, 알바도 다 들어야 하나요?
경우에 따라 달라요.
국민연금 | 월 60시간 이상 근무 시 | 의무 가입 |
건강보험 | 주 15시간 이상, 월 60시간 이상 | 의무 가입 |
고용보험 | 1명 이상 사업장 전원 가입 대상 (주당 시간 관계 없음) | 무조건 가입 |
산재보험 | 근로자 1명 이상이면 자동 가입 | 무조건 가입 |
아르바이트생도 퇴직금 받을 수 있나요?
1년 이상 주 15시간 이상 근무했으면 퇴직금 지급 대상입니다.
단기 알바는 보통 해당 안 되지만, 장기 알바는 체크 필수!
사장님들을 위한 실전 고용 Tip
사람 뽑기 전, 이력서보다 중요한 건 '성실도 체크'!
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건 '시간 약속을 잘 지키는지' 확인하는 것!
정해진 시간보다 5분 일찍 오는 사람 = 성실도 높을 확률↑
너무 말 잘하는 사람보다, 조용해도 질문에 성의 있게 답하는지를 보세요.
면접에서 꼭 물어볼 질문 Best 3
“이전에 알바했던 경험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?”
→ 대충 대답하는지, 실제 경험을 말하는지로 태도 체크!
“앞으로 몇 달 정도 근무 가능하신가요?”
→ 장기/단기 파악. 금방 그만두는 타입인지 걸러낼 수 있어요.
“가장 바쁜 시간대에도 괜찮으신가요?”
→ 피크타임 회피하는 사람인지 확인 가능.
추천 고용 방식: 단기 vs 장기, 뭐가 좋을까?
방식 장점 단점
단기 알바 | 급할 때 빠르게 투입 가능 | 자주 바뀌니 손도 많이 가고 정 붙이기 어려움 |
장기 알바 | 업무 숙련도↑, 사장님 마음도 편함 | 구하기 어렵고, 관리가 중요함 |
추천: 가능하면 장기 알바 구해서 오래 함께 하는 방식이 심리적으로나 운영적으로 훨씬 안정적이에요!
알바생이 오래 버티는 환경 만들기
급여일 정확히 지키기 (신뢰 생김)
식사/음료 제공 여부도 은근히 영향 커요
칭찬은 생각보다 강력한 동기부여!
본인 일정 미리 말해주면 최대한 맞춰주려는 태도 보여주기
알바생도 "내 직원"이라는 마인드가 중요해요!
알바는 단순히 "잠깐 일하러 온 사람"이 아니에요.
가게에선 손님이 먼저 보게 되는 **'얼굴'이자 '이미지'**이기도 하죠.
정부 정책 잘 지키는 건 기본!
그 위에 사장님의 센스와 따뜻함까지 더해지면,
좋은 알바는 물론 오래가는 가게가 되실 거예요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