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창업의 첫걸음

by my창업 2025. 8. 8.

"내 사업을 해보고 싶다"는 생각,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.

하지만 창업은 열정만으로 시작하기에는 준비해야 할 게 너무 많습니다.

무작정 뛰어들기보다는, 올바른 순서와 전략으로 준비하는 것이

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"첫걸음" 입니다.

.

.

지금부터  창업을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:)

 

 


1. 아이템 및 시장 조사

무엇을 할 것인가?: 제품이나 서비스 아이디어 정리


문제 해결: 어떤 문제를 해결해주는가?


시장 조사: 타깃 고객은 누구인가? 경쟁사는 어떤가?


트렌드 파악: 요즘 어떤 산업이 뜨고 있는가?

예시)

사람들이 이걸 돈 주고 살까?


비슷한 서비스/제품이 있다면, 나는 어떻게 다를까?

 


2. 사업모델 구상 (비즈니스 모델 캔버스)

수익 모델: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?


고객 세그먼트: 어떤 고객을 타깃으로 할 것인가?


채널: 어떻게 고객에게 도달할 것인가?


핵심 활동: 사업 운영에 필요한 핵심 작업은?

팁: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(BMC)로 한 장에 정리해보는 걸 추천!

 


3. 사업계획서 작성

아이템 소개


시장 분석


마케팅 전략


운영 계획


재무 계획 (자금 조달, 수익 예상 등)

 

( 정부 지원사업이나 투자 받으려면 사업계획서가 필수적입니다!)


4. 자금 마련

 

자기 자본: 내 돈 (요즘같은 불경기엔 여유자금으로 하는 것을 추천)


정부지원금 / 창업지원 프로그램: 예비창업패키지, 청년창업사관학교 등


투자: 엔젤 투자자, VC, 크라우드 펀딩 등

ps. 정부 지원 사업은 ‘K-스타트업’, ‘창업진흥원’, ‘서울창업허브’ 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!


5. 법인 설립 or 개인 사업자 등록

 

개인사업자: 시작이 간편, 세금 부담은 크지만 소규모에 유리


법인사업자: 규모가 크거나 투자유치에 유리

- 사업자 등록은 홈택스 또는 세무서에서 가능

- 법인 설립은 등기소에서 진행 (법무사 도움 가능)


6. MVP 제작 및 테스트

 

MVP(Minimum Viable Product): 최소기능 제품/서비스


고객에게 테스트해보고 피드백 받기 → 개선 → 반복


7.  마케팅 및 브랜딩

 

브랜드 네임, 로고, 슬로건 정하기


SNS, 블로그, 유튜브 등으로 알리기


광고 집행 (구글, 페북, 인스타 등)


8. 사업 운영 & 성장 전략 수립

 

고객관리 (CRM)


성장 지표(KPI) 설정


채용, 시스템 구축, 확장 계획 등


 

사업은 항상 신중하고 꼼꼼하게 따져보고 결정해야합니다.

더 알고싶은 정보나 궁금하신 점은 댓글 남겨주세요 :)

모두들 좋은 하루 보내세요~!